-
반응형
ETN이란?
상장지수펀드(ETF)와 마찬가지로 거래소에 상장돼 쉽게 사고팔 수 있는 상장지수채권을 말합니다. 주로 증권사가 자사의 신용에 기반해 발행하며 기초지수 수익률에 연동하는 수익을 약속하는 것으로, 만기 이전에 반대 매매가 가능합니다. 최근 국제유가 폭락으로 시가총액 4300억원 이상의 원유 선물 ETN 투자자들의 손실이 커져 금융감독원은 소비자경보 최고등급인 `위험`등급을 발령했습니다.
원자재나 주가지수 등 기초자산의 가격 변동에 따라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한 채권 형태의 상품이다. 채권과 원자재, 통화, 주식, 선물 등에 투자해 해당 상품가격이 오르면 수익률도 따라 오릅니다. 금융회사가 자기신용으로 발행하고 ETF처럼 거래소에 상장되기 때문에 시장에서 ETN을 자유롭게 사고팔수 있습니다. 미리 약정한 기초지수 수익률을 지급하겠다고 발행자가 약속하기 때문에 추적오차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증권사가 LP 역할을 한다는 점은 ETF와 동일합니다.
ETN은 적은 수수료로 해외 자산과 국내 전략 상품 등에 투자할 수 있는 중위험·중수익 재테크 수단으로 꼽히는데요. 거래량이 적지만 유동성 공급자 역할을 맡은 증권사들이 가격대별로 촘촘하게 호가를 내주기 때문에 원하는 시기에 ETN을 팔아 현금화할 수 있습니다. 거래 방법은 주식과 같아요. 국내 지수와 연계한 상품은 세금이 없지만 해외 지수 연계상품, 원자재 상품 등에 대해선 매매차익 중 15.4%를 세금으로 내야 합니다.ETF와 차이점
2014년 11월 도입된 ETN은 시장 개설 6개월 만에 36개 종목이 상장돼 1조1000억원 규모로 성장했습니다. 상장지수펀드(ETF)와 비슷하지만 발행 주체가 자산운용사가 아닌 증권사며, 만기가 있다는 점이 달라요. ETN은 ETF와 달리 기초자산을 보유하지 않고 운용사가 신용으로 대체합니다.
반응형'라이프 정보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외 매매란? (종류 포함) (0) 2021.01.12 BW란 무엇일까?(신주인수권부사채) (0) 2021.01.08 제 3자 배정 유상증자의 뜻은? (0) 2021.01.07 주식 장외 거래의 뜻과 방법 (사이트 링크) (0) 2021.01.04 per의 뜻은? (0) 2021.01.03